현대 테라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테라칸은 2001년 2월부터 2007년 3월까지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한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SUV)로, 2세대 미쓰비시 파제로의 섀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2.9리터 디젤, 2.5리터 디젤(미쓰비시 라이선스), 3.5리터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으며, '테라칸 파워플러스'라는 페이스리프트 모델도 출시되었다. 대한민국 외에도 중국, 러시아, 유럽 등지에 수출되었으며, 북미 시장을 겨냥한 현대 베라크루즈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테라칸은 '대지를 지배하는 차'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멕시코 타라스칸 왕국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1년 도입된 자동차 - 쌍용 렉스턴
쌍용 렉스턴은 2001년 쌍용자동차에서 출시된 SUV로, 무쏘의 상급 차종으로 개발되었으며 이탈리아 디자이너 조르제토 쥬지아로가 디자인했고, 여러 번의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렉스턴 뉴 아레나가 현재 판매 중이다. - 2001년 도입된 자동차 - 현대 라비타
현대 라비타는 2001년에 출시된 5도어 해치백 차량으로, XD형 현대 엘란트라 플랫폼을 기반으로 피닌파리나가 스타일링을 담당했으며, 대한민국산 자동차 최초로 센터 클러스터를 적용했다. - 준대형 승용차 - 지프 그랜드 체로키
지프 그랜드 체로키는 크라이슬러에서 생산하는 중형 럭셔리 SUV로, 모노코크 바디 구조와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특징으로 하며, 오프로드 성능과 고급 편의 사양을 갖춘 다양한 트림을 제공하고 현대 팰리세이드, 기아 텔루라이드 등과 경쟁하며 연료 탱크 및 변속기 관련 문제로 리콜을 실시한 바 있다. - 준대형 승용차 - 현대 그랜저
현대 그랜저는 1986년 출시된 현대자동차의 고급 승용차 브랜드이며, 7세대에 걸쳐 진화하며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현대자동차의 차종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현대 테라칸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현대자동차 |
별칭 | 화타이 테라칸 (중국) |
생산 기간 | 2001년–2007년 (대한민국) 2003년–2011년 (중국) 2003년–2007년 (인도) |
조립 공장 |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중국 룽청 시, 산둥 성 (화타이 자동차) 인도 첸나이 (현대자동차 인도) |
이전 모델 | 현대 갤로퍼 |
후속 모델 | 현대 베라크루즈 |
차종 | 중형 SUV |
차체 형태 | 5-도어 SUV |
구동 방식 | 전륜구동, 사륜구동 |
엔진 | |
가솔린 | 2.4 L 4G64 I4 (중국) 3.5 L 시그마 V6 |
디젤 | 2.5 L D4BF 터보 I4 2.9 L J-Series 터보 I4 |
변속기 | |
크기 | |
축거 | 2750 mm |
전장 | 4700 mm |
전폭 | 1860 mm |
전고 | 1840 mm |
관련 차종 |
2. 역사
2001년 갤로퍼의 후속 차종으로 출시된 테라칸은[1] 갤로퍼의 상위 모델로 2003년까지 병행 판매되었다. 미쓰비시 파제로의 라이선스 생산은 아니지만, 섀시나 일부 엔진은 파제로의 것을 사용했다.[2] 현대자동차의 SUV 중 마지막 프레임 구조 차종이다.
테라칸의 디자인은 현대 하이랜드 컨셉으로 미리 공개되었으며,[1] 2.9리터 디젤 직렬 4기통 현대 J 엔진, 미쓰비시에서 라이선스한 2.5리터 디젤 직렬 4기통(4D56), 3.5리터 가솔린 V6 현대 시그마 엔진 등 3가지 엔진을 사용했다. 차 이름은 멕시코 서부 중부에 위치한 타라스칸 제국의 국가인 타라스칸에서 유래되었다.
2004년 "파워플러스"라는 서브 네임으로 부분 변경되었다. 중국, 러시아, 유럽 등으로 수출되었지만, 북미 대륙으로는 수출되지 않았다.
2007년 현대 베라크루즈로 대체되며 대한민국과 인도에서 생산 및 판매가 종료되었다.
2. 1. 1세대 (HP, 2001년 2월 ~ 2007년 3월)
2001년 2월 13일에 출시된 테라칸은 현대자동차의 SUV 중 마지막으로 보디 온 프레임 방식을 채택한 모델이다.[9] 당초 갤로퍼의 후속 차종으로 개발되었으나, 갤로퍼의 상위 모델로 출시되어 2003년까지 갤로퍼와 함께 판매되었다.출시 초기에는 갤로퍼에 사용되었던 2.5L 디젤 엔진과 에쿠스에 탑재된 3.5L 가솔린 엔진, 그리고 4단 자동변속기와 5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4] 2001년 8월에는 2.9L 디젤 엔진이 추가되었으며, 2002년 FIFA 월드컵을 기념하는 스페셜 에디션 트림이 한정 판매되기도 했다.[5] 2002년 8월 19일에는 알루미늄 휠과 라디에이터 그릴 디자인이 변경된 2003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다.
2003년 12월 15일 2.9L 디젤 엔진은 최고 출력이 165마력으로 향상되었다.[10] 2004년 1월에는 배기 가스 규제로 인해 2.5L 디젤 엔진은 갤로퍼와 함께 단종되었다.
테라칸은 2세대 파제로에서 파생된 섀시를 특징으로 했으며[2], 2.9리터 디젤 직렬 4기통 현대 J 엔진, 미쓰비시에서 라이선스한 2.5리터 디젤 직렬 4기통(4D56), 3.5리터 가솔린 V6 현대 시그마 엔진 등 3가지 엔진 중 하나를 사용했다. 테라칸의 디자인은 원래 현대 하이랜드 컨셉으로 미리 공개되었다.[1]
구분 | 2.5L 디젤 (2WD/4WD) | 2.9L 디젤 (2WD) | 2.9L 디젤 (4WD) | 3.5L 가솔린 (4WD) |
---|---|---|---|---|
전장 (mm) | 4,710 4,775(범퍼 가드 적용시) | |||
전폭 (mm) | 1,860 | |||
전고 (mm) | 1,795 1,840(루프랙 적용시) | |||
축거 (mm) | 2,750 | |||
윤거 (전, mm) | 1,530 | |||
윤거 (후, mm) | 1,530 | |||
승차 정원 | 7명 | |||
변속기 | 수동 5단 자동 4단 | 자동 4단 | ||
서스펜션 (전/후) | 더블 위시본/5링크 코일 스프링 | |||
구동 형식 | 후륜 구동 4륜 구동 | 후륜 구동 | 4륜 구동 | |
엔진 형식 | D4BH | J3 | G6CU | |
연료 | 디젤 | 가솔린 | ||
배기량 (cc) | 2,476 | 2,902 | 3,497 | |
최고 출력 (ps/rpm) | 103/3,800 | 145/3,800 (이후 160/3,700으로 변경) | 150/3,800 (이후 165/3,700으로 변경) | 207/5,500 |
최대 토크 (kg*m/rpm) | 24.0/2,000 | 34.0/2,000 (이후 36.0/2,000으로 변경) | 32.0/3,500 | |
연료 탱크 용량 (L) | 75 | |||
공차 중량 (kg) | 1,975(수동)/ 1,975(자동) | 2,010(수동)/ 2,005(자동) | 2,115(수동)/ 2,110(자동) | 2,070(자동) |
연비 (km/L) | 9.7(수동)/ 9.2(자동) (이후 9.0(수동)/ 8.6(자동)으로 변경) | 12.2(수동)/ 10.7(자동) (이후 10.4(수동)/ 9.4(자동)로 변경) | 11.2(수동)/ 9.9(자동) (이후 10.4(수동)/ 9.3(자동)로 변경) | 7.1(자동) (이후 6.7(자동)로 변경) |
2. 1. 1. 라인업 (1세대)
2.5L 디젤 | 2.9L 디젤 | 3.5L 가솔린 |
---|---|---|
2. 2. 테라칸 파워플러스 (2004년 6월 ~ 2007년 3월)
2004년 6월 3일, 테라칸은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파워플러스'라는 서브네임을 붙였다.[11] SUV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된 3.5L 가솔린 엔진은 단종되었고, 2.9L 디젤 엔진의 최고 출력은 174마력으로 향상되었다.[7]

2006년 10월 12일, 북미 시장을 겨냥한 베라크루즈가 출시되면서 대한민국 내 생산이 중단되었고,[12] 이후 약 5개월간 재고 차량을 판매하다 2007년 3월에 최종 단종되었다.[8]
테라칸 파워플러스의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
구분 | 2.9L 디젤 (2WD) | 2.9L 디젤 (4WD) |
---|---|---|
전장 (mm) | 4,700 / 4,765 (범퍼 가드 장착 시) | |
전폭 (mm) | 1,860 | |
전고 (mm) | 1,795 / 1,840 (루프랙 장착 시) | |
휠베이스 (mm) | 2,750 | |
트레드 (전/후, mm) | 1,530 / 1,530 | |
승차 정원 | 7명 | |
변속기 | 5단 수동 / 4단 자동 | |
서스펜션 (전/후) | 더블 위시본 / 5링크 | |
엔진 형식 | J3 | |
연료 | 디젤 | |
배기량 (cc) | 2,902 | |
최고 출력 (ps / rpm) | 170 / 3,700 | 174 / 3,700 |
최대 토크 (kg・m / rpm) | 36.0 / 2,000 | |
연료 탱크 용량 (L) | 75 | |
차량 중량 (kg) | 2,030 (5단 수동) / 2,025 (4단 자동) | 2135 (5단 수동) / 2,130 (4단 자동) |
연비 (km /ℓ) | 10.7 (5단 수동) / 9.8 (4단 자동) | 10.8 (5단 수동) / 10.0 (4단 자동) |
2. 2. 1. 라인업 (테라칸 파워플러스)
트림명 |
---|
EX290 기본형/고급형 |
JX290 기본형/고급형/최고급형 |
JX290 최고급형 블랙 스페셜 |
JX290 골드 고급형/최고급형 |
JX290 골드 고급형 블랙 스페셜/최고급형 블랙 스페셜 |
테라칸은 현대자동차의 SUV 중 마지막으로 보디 온 프레임 구조를 채택한 차종이다.[9] 출시 당시에는 갤로퍼의 것을 기계식에서 전자식으로 개량한 2.5L 디젤 엔진과 에쿠스에 적용된 3.5L 가솔린 엔진, 그리고 4단 자동변속기와 5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9] 2001년 8월에는 2.9L 디젤 엔진이 추가되었다.[9] 2004년 1월에는 배기 가스 규제로 인해 2.5L 디젤 엔진이 단종되었고, 앞선 2003년 12월 15일 2.9L 디젤 엔진은 최고 출력이 165마력까지 상승했다.[10] 2004년 6월 3일 테라칸은 파워플러스라는 서브 네임이 더해졌고, 2.9L 디젤 엔진의 최고 출력은 174마력까지 상승하였다.[11]
3. 성능 및 제원
구분 테라칸
2.5L 디젤
(2WD/4WD)테라칸
2.9L 디젤
(2WD)테라칸
2.9L 디젤
(4WD)테라칸
3.5L 가솔린
(4WD)전장
(mm)4,710
(범퍼 가드 적용 시 4,775)전폭
(mm)1,860 전고
(mm)1,795
(루프랙 적용 시 1,840)축거
(mm)2,750 윤거
(전, mm)1,530 윤거
(후, mm)1,530 승차 정원 7명 서스펜션
(전/후)더블 위시본/5링크 코일 스프링 연료 탱크 용량
(L)75 공차 중량
(kg)1,975(수동)/
1,975(자동)2,010(수동)/
2,005(자동)2,115(수동)/
2,110(자동)2,070(자동) 연비
(km/L)9.7(수동)/
9.2(자동)
(이후 9.0(수동)/
8.6(자동)으로 변경)12.2(수동)/
10.7(자동)
(이후 10.4(수동)/
9.4(자동)로 변경)11.2(수동)/
9.9(자동)
(이후 10.4(수동)/
9.3(자동)으로 변경)7.1(자동)
(이후 6.7(자동)로 변경)구분 테라칸 파워 플러스
2.9L 디젤
(2WD)테라칸 파워 플러스
2.9L 디젤
(4WD)전장
(mm)4,700
(범퍼 가드 적용 시 4,765)전폭
(mm)1,860 전고
(mm)1,795
(루프랙 적용 시 1,840)축거
(mm)2,750 윤거
(전, mm)1,530 윤거
(후, mm)1,530 승차 정원 7명 서스펜션
(전/후)더블 위시본/5링크 코일 스프링 연료 탱크 용량
(L)75 공차 중량
(kg)2,030(수동)/
2,025(자동)2,135(수동)/
2,130(자동)연비
(km/L)10.7(수동)/
9.8(자동)10.8(수동)/
10.0(자동)
3. 1. 엔진
테라칸은 세 가지 엔진 라인업을 갖췄다. 미쓰비시에서 라이선스를 받은 2.5L 디젤 엔진, 2.9L 디젤 엔진, 그리고 3.5L 가솔린 V6 현대 시그마 엔진이었다.[1] 2.5L 디젤 엔진은 D4BH 직렬 4기통 엔진 형식을 사용했으며, 에쿠스에도 탑재되는 3.5L 가솔린 엔진은 G6CU V형 6기통 엔진 형식을 사용했다.[4] 2.9L 디젤 엔진은 J3 직렬 4기통 엔진 형식을 사용했다.
구분 | 2.5L 디젤 (2WD / 4WD) | 2.9L 디젤 (2WD / 4WD) | 3.5L 가솔린 (4WD) |
---|---|---|---|
엔진 형식 | D4BH 직렬 4기통 | J3 직렬 4기통 | G6CU V형 6기통 |
연료 | 디젤 | 가솔린 | |
배기량 (cc) | 2,476 | 2,902 | 3,497 |
최고 출력 (ps / rpm) | 103 / 3,800 | 145 / 3,800 → 160 / 3,700 (2WD) 150 / 3,800 → 165 / 3,700 (4WD) | 207 / 5,500 |
최대 토크 (kg·m / rpm) | 24.0 / 2,000 | 34.0 / 2,000 → 36.0 / 2,000 | 32.0 / 3,500 |
변속기 | 5단 MT / 4단 AT | 4단 AT |
2001년2월 13일 출시 당시에는 2.5L 디젤 엔진과 3.5L 가솔린 엔진 두 종류가 제공되었다.[4] 2001년 8월에 2.9L 디젤 엔진이 추가되었다. 2003년 12월, 배출가스 규제로 인해 2.5L 디젤 엔진 모델은 단종되었고, 2.9L 디젤 엔진의 최고 출력은 165마력으로 향상되었다.[5] 2004년6월 3일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3.5L 가솔린 엔진이 단종되고, 2.9L 디젤 엔진의 최고 출력은 174마력까지 향상되었다.[7]
3. 2. 변속기
4단 자동변속기와 5단 수동변속기가 제공되었다.[4] 2.5L 디젤, 2.9L 디젤 모델은 5단 수동변속기와 4단 자동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었지만, 3.5L 가솔린 모델은 4단 자동변속기만 적용되었다.구분 | 2.5L 디젤 (2WD / 4WD) | 2.9L 디젤 (2WD / 4WD) | 3.5L 가솔린 (4WD) |
---|---|---|---|
변속기 | 5단 수동 / 4단 자동 | 4단 자동 |
3. 3. 구동 방식
2.5L 디젤 엔진의 경우 FR과 4WD를 선택할 수 있었고, 3.5L 가솔린 엔진은 4WD만 적용되었다.[4] 2001년 8월에는 2.9L 디젤 엔진이 추가되었다.3. 4. 차체
테라칸은 2세대 미쓰비시 파제로의 섀시를 기반으로 한 보디 온 프레임 구조를 채택하여 오프로드 주행 성능과 내구성이 뛰어났다.[2]구분 | 2.5L 디젤 (2WD / 4WD) | 2.9L 디젤 (2WD / 4WD) | 3.5L 가솔린 (4WD) |
---|---|---|---|
전장 (mm) | 4,710 / 4,775 (범퍼 가드 장착 시) | ||
전폭 (mm) | 1,860 | ||
전고 (mm) | 1,795 / 1,840 (루프 랙 장착 시) | ||
휠베이스 (mm) | 2,750 | ||
트레드 (전/후, mm) | 1,530 / 1,530 | ||
승차 정원 | 7명 | ||
서스펜션 (전/후) | 더블 위시본 / 5링크 |
3. 5. 제원
2.5L 디젤(2WD/4WD)
2.9L 디젤
(2WD)
2.9L 디젤
(4WD)
3.5L 가솔린
(4WD)
(mm)
(범퍼 가드 적용 시 4,775)
(mm)
(mm)
(루프랙 적용 시 1,840)
(mm)
(전, mm)
(후, mm)
4단 자동
(전/후)
4륜 구동
(cc)
(ps/rpm)
(이후 160/3,700으로 변경)
(이후 165/3,700으로 변경)
(kg·m/rpm)
(이후 36.0/2,000으로 변경)
(L)
(L)
(kg)
1,975(자동)
2,005(자동)
2,110(자동)
(km/L)
9.2(자동)
(이후 9.0(수동)/
8.6(자동)으로 변경)
10.7(자동)
(이후 10.4(수동)/
9.4(자동)로 변경)
9.9(자동)
(이후 10.4(수동)/
9.3(자동)으로 변경)
(이후 6.7(자동)로 변경)